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식공부 4. PER, PBR, ROE(주식의 가치를 보는 3가지)

by 머니스터디디 2025. 5. 27.
반응형

2025.05.26 - [주식공부] - 주식공부 3회차-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기

 

주식공부 3회차-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기

2025.05.24 - [주식공부] - 주식공부 2회차 - 기업실적 분석 해보기 주식공부 2회차 - 기업실적 분석 해보기▶혼자 주식 공부한 것을 정리하고, 차후에 찾아보기 쉽도록 쓴 글입니다. 정보가 정확하지

shycre.tistory.com

안녕하세요 

어제는 손익계산서를 통해 기업의 수익 구조를 살펴보는 법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오늘은 배움을 바탕으로, 기업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있는 3 핵심 지표인 PER, PBR, ROE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지표들은 단순히 수치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비교하고 조합해서 해석해야 진짜 가치를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어떤 기업이 저평가인지, 어떤 기업이 돈을 버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공부해보려 합니다.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개념

PER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냅니다.
, 지금 주가 수준이 실적 대비 과한지, 저평가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도구입니다.
◇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해석 기준:
  - PER
낮다이익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 가능성
  - PER
높다이익 대비 주가가 높아 고평가 가능성 (성장주일 있음)

예시(2024.12 기준)

기업 주가 EPS PER 해석
삼성전자 54,700 5,160 10.6 전통적 가치 대비 적정 수준
현대자동차 211,700 46,042 4.60 PER 낮고 안정적 이익
네이버 198,900 11,913 16.7 성장 기대 반영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개념

PBR 회사의 자산(청산가치) 대비 주가 수준을 보여줍니다.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싸다면 저평가일 있습니다.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해석 기준:
  - PBR
1보다 작다자산가치보다 낮게 거래저평가
  - PBR
1보다 크다프리미엄이 붙은 주가

예시(2024.12기준)

기업 주가 BPS PBR 해석
삼성전자 54,700 58,800 0.9 저평가보다는 주가대비 자산이 높음. 
현대자동차 211,700 405,094 0.5 저평가일 가능성 높음
네이버 198,900 166,221 1.2 무형자산, 성장주 프리미엄
반응형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개념

ROE 회사가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냈는가를 보여줍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내가 투자한 돈으로 얼마나 돈을 벌어주느냐 지표입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해석 기준:
  -
높을수록 자본을 운용한
  - 10%
이상이면 수익성이 우수한 기업

예시(2024.12기준)

기업 순이익 자기자본 ROE
삼성전자 82 887 9.24%
현대자동차 13 104 12.43%
네이버 1.9 24 7.9%

세 가지 지표를 함께 해석하는 법

PBR이 낮고 ROE가 높으면?
→ 시장에서 아직 주목하지 않았지만 자본 효율성이 뛰어난 숨은 우량주일 수 있습니다.

지표 핵심 의미 수치 해석 투자 판단
PER 이익 대비 주가 낮을수록 저평가 가능성 성장성도 고려해야
PBR 자산 대비 주가 1 이하일수록 저평가 가능성 ROE 함께 해석 필수
ROE 자본 수익률 높을수록 자본 효율 우수 10% 이상은 우량 기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