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
주식공부 8. ROE와 ROA 완전정복
머니스터디디
2025. 5. 31. 23:08
반응형
2025.05.29 - [주식공부] - 주식공부 7회차- PER, EPS 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공부 7회차- PER, EPS 에 대해 알아보자.
2025.05.28 - [주식공부] - 주식공부 6회차-시가총액과 유통주식수의 의미 주식공부 6회차-시가총액과 유통주식수의 의미2025.05.28 - [주식공부] - 주식공부 5회차-시가총액과 주당지표 이해하기 주식
shycre.tistory.com
안녕하세요.
주식 투자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는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나타내는 ROE(자기자본이익률)과 ROA(총자산이익률)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이 회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본을 운용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지표의 개념, 계산법, 해석법, 그리고 국내 주요 기업의 예시까지 공부해보려합니다.
1. ROE란? (Return on Equity)
- 정의: 자기자본 대비 얼마나 순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공식: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의미: 투자자의 입장에서 자본을 얼마나 잘 굴리고 있는지를 의미함
- 높을수록 좋은가? 일반적으로 10% 이상이면 우량 기업으로 평가됨
2. ROA란? (Return on Assets)
- 정의: 기업이 가진 전체 자산 대비 얼마나 순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공식: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 의미: 회사가 가진 자산 전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지를 평가
- 높을수록 좋은가? 업종마다 기준은 다르지만 5% 이상이면 양호한 편
3. 국내 주요 기업 ROE/ROA 비교 (2024 기준)
기업명 | ROE (%) | ROA (%) |
---|---|---|
삼성전자 | 12.1 | 8.6 |
SK하이닉스 | 8.7 | 5.3 |
현대자동차 | 9.5 | 6.1 |
네이버 | 6.4 | 4.2 |
카카오 | 3.8 | 2.5 |
※ 수치는 2024년 결산 기준 추정치이며, 기업 IR 또는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했습니다.
4. ROE와 ROA 해석의 차이
- ROE: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성 → 주주 입장에서 중요
- ROA: 전체 자산의 효율성 → 경영진 입장에서 중요
- 참고: 부채가 많을수록 ROE는 올라가고 ROA는 낮아질 수 있음
5. 오늘의 정리
- ROE: 투자자의 수익률을 나타냄
- ROA: 자산의 효율적 사용을 평가
- 두 지표 모두 함께 보면 더 정확한 재무 분석 가능
728x90
반응형